[출근길 인터뷰] 겨울 도로 불청객 '블랙아이스'…대처법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주말 7명의 사망자가 나온 상주 영천고속도로 사고에 대해서 합동조사가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토교통부와 경찰 등 관계기관은 현재 지정된 결빙 취약 구간을 전면 재수사하고 추가 취약구간 지정을 검토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사고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됐던 블랙아이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이동훈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를 만나 대체 블랙아이스가 뭔지 예방법은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박진형 기자 나와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이호근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요즘 블랙아이스에 대한 얘기가 굉장히 많이 나오는데 먼저 블랙아이스는 어떤 겁니까?<br /><br /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<br /><br />일단은 용어 그대로 블랙아이스 하면 눈에 띄지 않는 얼음이다 이렇게 보시면 되는데 낮이나 혹시 비나 눈이 내려서 녹았을 경우에는 그게 이제 도로면에 보면 갈라진 틈이나 포톨이라고 하죠.<br /><br />이런 데 고여 있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러다 보면 타이어하고 접촉을 안 하니까 마르지 않고 있다가 밤이 돼서 기온이 떨어지면서 아니면 기온이 급감할 경우에 부피가 팽창하면서 살짝 올라오게 되는데 노면에 있는 먼지, 기름때와 섞여 있어서 눈에 갈 잘 띄지 않고 노면 색깔과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에 블랙아이스라고 칭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주말에 상주에서 굉장히 큰 사고가 났던 것도 블랙아이스가 원인이 아닐까 하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그때 날씨는 영하가 아니었거든요.<br /><br />그런데 블랙아이스가 생기는 조건이 따로 있습니까?<br /><br /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<br /><br />일단 밤에 영하의 조건에 얼었던 것이 지금과 같이 상온으로 온도가 올라갔음에도 불구하고 잘 녹지 않는 경우가 있고요.<br /><br />또 한 가지는 교역이나 이런 경우는 지열이 잘 전달이 되지 않고 위아래로 찬바람이 불기 때문에 보통 다른 지역보다 2~3도 온도가 낮아질 수 있거든요.<br /><br />그래서 사고가 발생했을 그 당시의 온도도 영상 2~3도 정도였는데 그 상황에서도 충분히 얼음이 얼고 블랙아이스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블랙아이스에서 아마 운전을 하다 보면 굉장히 당황할 수밖에 없는데 어떻게 하면 좀 더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<br /><br />일단은 블랙아이스가 이제 결빙이 되거나 산기슭에 일단 그늘이 지거나 교각 위로 운전하실 경우에 앞차하고의 거리를 3배 이상 떼는 게 상당히 중요하고요.<br /><br />실제 살짝 차량이 미끄러질 때 당황해서 브레이크를 급제동하면서 핸들까지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차량이 좌우로 흔들리면서 회전을 하고 오히려 대형 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핸들을 유지하고 방향을 유지한 다음에 브레이크를 아주 조심스럽게 나눠 밟는 게 중요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번 사건으로 정부에서는 결빙구간에 대한 재검토, 재검수를 하겠다라고 했는데 어떤 부분을 조사해야 하고 어떤 대책이 좀 나와야 됩니까?<br /><br /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<br /><br />블랙아이스 사고가 한 번이라도 발생한 지역에 대해서 철저한 조사가 당연히 필요하고요.<br /><br />조금 전에 설명드린 것처럼 교각 위나 산기슭 하루 중에서 그늘진 곳이 많은 지역을 충분히 조사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운전하다 보면 우리가 야생동물 출몰지역 이런 표지판 있지 않습니까?<br /><br />블랙아이스가 한 번이라도 결빙이 된 구간에 대해서는 그러한 경고표지판을 2, 300m 전에 부착함으로써 일반 운전자들이 주의하고 통과할 수 있도록 지자체나 관련 부서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늘 안전운전에 대한 얘기는 나오고 있지만 겨울철 보면 연쇄추돌 사고, 충돌사고가 굉장히 많이 나는데 어떻게 하면 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<br /><br />일반적인 제동거리에 대해서 사람들이 아주 심각성을 모르는데 마른 노면에서의 제동거리와 젖은 노면에서 한 20% 늘어나서 1.2배이고요.<br /><br />눈길에서는 3배, 빙판에서는 9배까지 늘어납니다.<br /><br />또 한 가지 얼음이 어는 조건은 실제 눈이나 비가 오지 않더라도 호숫가나 강가 같은 경우에는 아침에 습기가 많다 보니까 살짝 서리가 올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빙판과 동일하게 9배의 제동거리가 늘어나거든요.<br /><br />그러다 보니까 연쇄추돌사고가 10분, 20분 연속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일단은 안전운전은 제동거리를 고려해서 앞차와의 거리가 충분히 떼고 평소보다 한 30% 정도 낮은 속도로 운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안전요령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바쁘신데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<br /><br />수고하셨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금까지 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